전체 글
-
web동작원리html.css.js/html css 2023. 11. 15. 11:10
🥕 웹 브라우저란? 자바스크립트를 실행시켜주는 엔진이다. 즉, 브라우저가 코드를 해석해주는 것이다. ( HTML, CSS, JavaScript를 해석해주는 엔진) 🥕동기적 vs 비동기적 ? - 동기적 동기적인 작업은 순차적으로 실행됨. 한 작업이 시작되면 그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작업이 대기. ex) 코스요리 : 차례대로 먹어야 다음을 먹을 수 있음 - 비동기적 비동기적인 작업은 순차적으로 실행되지 않음. 한 작업이 시작되면 다음 작업이 기다리지 않고 즉시 실행됨. ex) 고기집 : 목살,삼겹살 먹다가 라면 먹다가 동시에 다함. 🥕 자바스크립트 (싱글 스레드) 자바스크립트는 원래 동기적으로 처리되는 언어이다. ( 한 번에 한 가지 일 밖에 처리할 수 없다 ) => 이렇게 되면 브라우저에서 오래 걸리..
-
RESTful API란?Node.js 2023. 11. 14. 14:44
🥕 RESTful API란?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아키텍처의 한 형식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로 RSET는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=> HTTP Method(POST, GET, PUT, DELETE, PATCH 등)을 통해서 함 💡 HTTP Method CRUD Operation이란?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(생성), Read(읽기), Update(갱신), Delete(삭제)를 묶어서 일컫는 말 Create : 데이터 생성(POST) Read : 데이터 조회(GET) Update :..
-
🌙 session 방식?token 방식Node.js 2023. 11. 14. 00:11
인증과 인가 => 시스템의 자원을 적절하고 유효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공개하는 방법 🌙 인증 (Authentication) 클라이언트가 자기자신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사용자가 맞는지 검증하는 과정 너 누군지 인증해봐! ex) 로그인 🌙 인가 (Authorization) 인증 작업 이후에 행해지는 작업, 인증된 사용자의 자원요청에 대한 권한 확인 절차 ex) 내가 작성한 글 수정, 좋아요, 댓글 작성 ( 내가 타인이 작성한 글을 수정하거나 제거할 수 없음, 타인의 리소스에 대해서는 인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 ) 🧿 HTTP의 비상태성(Stateless) HTTP는 비상태성(Stateless)이라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각 통신의 상태 저장 안됨 ( =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음, 바로 직전에 발..
-
[피그마] 피그마로 아이콘 만들기and so on 2023. 11. 13. 16:17
피그마라는 툴을 활용하여 html 아이콘을 만들어보았다. 그라데이션을 주어 색감을 다채롭게 만들고 여러 층의 Effects들을 쌓고 쌓아서 입체적으로 효과를 주니까 너무 신기하고 재밌었다!! 평면보다는 입체적인게 뭔가 더 있어보이는 거 같아서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을 거 같다. Stroke에 Linear 속성으로 부분 부분 색상과 opacity를 이용해서 그라데이션을 주면된다! 대각선으로 그라데이션 섹션 설정하기 1->2->3->4->5(맨위) 순서대로 차곡차곡 쌓으면 완성! 참고사이트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VN5L9OiaztI
-
시멘틱 태그 : 검색엔진 잘 띄워지는 페이지 만들기and so on 2023. 11. 13. 14:33
시멘틱 태그 검색엔진 최적화 ( = 검색 됐을 때 상위에 노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) 왜쓰는가? 1) 접근성 향상 시맨틱 태그 요소는 웹페이지의 다양한 섹션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웹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경험과 만족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. 2) SEO (검색엔진최적화) 향상 시맨틱 태그는 관련 키워드와 문구에 대해 웹페이지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, 이를 통해 검색결과 상에서 웹 사이트 노출 순위를 높이고 더 많은 트래픽을 유도할 수 있다. 3) 가독성 향상 시맨틱 태그는 콘텐츠의 명확하고 일관된 흐름과 구조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. 그러기 위해선? html코드를 의미론적으로 타당한 태그로 잘 설명해야함
-
BEM방법론and so on 2023. 11. 13. 12:09
🤷♀️ BEM방법론이란 ? CSS 제작 방법론으로, 일종의 네이밍 컨벤션이라고 볼 수 있다 😎 BEM의 기본구조 Block Element Modifier ⇒ 이 세가지로 구성된 이름을 짓는것임!! 각각 __와 —으로 구분한다 header은 Block navigation은 Element input은 Modifier BEM은 기본적으로 ID를 사용하지 않으며 class만을 사용함 어떻게 보이는가가 아님⇒ 어떤 목적인가에 따라 이름을 짓는 😈 Block 재사용 가능한 독립적 블록으로 가장 바깥쪽 상위요소 => 어디에 종속되지 않아서 헤더에 쓰일 수도 있고, 푸터에 쓰일 수도 있고, 여기저기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Block 이름은 색상이나 크기 등을 묘사하는 이름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의미 있는 이름을 사..
-
AxiosError: Request failed with status code 500 해결 방법카테고리 없음 2023. 11. 13. 00:05
폼데이터를 이용해 프로필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하는데 업로드 제출을 누르면 자꾸 이런 에러가 뜨는 것이다... 분명 upload/ 파일로는 이미지가 들어가고 console에도 데이터가 들어간게 보이는데... 그래서 뭐가 문제일까 찾아보았다. 위키백과에서 정의하자면 ❓ 500 에러 500 Internal Server Error(내부 서버 오류): 서버에 오류가 발생해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. 보통 설정이나 퍼미션 문제. 아니면 HTTP 요청을 통해 호출한 문서가 실제 HTML 문서가 아니라 JSP, PHP, 서블릿 등의 프로그램일 경우 그 프로그램이 동작하다 세미콜론을 빼먹는 등의 각종 에러로 비정상 종료를 하는 경우 이 응답코드를 보낸다. 그래서 오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VS..